728x90
레이더(Radar)
- 무선으로 주변 물체를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물체에 쏘고 다시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통해 거리, 방향, 고도를 알아내어 물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 비행기 혹은 배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지형에 대한 정보, 구름과 같은 기상정보를 알아내는 데 사용
라이다(Lidar)
- 펄스 레이저를 사용, 빛을 이용해 주변을 탐색하는 장치
- 레이더와 다르게 안테나보다는 카메라와 가까운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플래시 라이다(Flash Lidar), 스캐닝 라이다(Scaning Lidar) 두 가지로 구분되어 역할에 따라 사용
- 라이다는 360도로 초당 수십 바퀴를 돌면서 빛을 사방으로 쏘았다가 다시 돌아오는 정보를 토대로 이미지를 그려낸다. 그려낸 이미지 컴퓨터를 통해서 자동차와 사람을 구별하고 도로와 건물을 식별하는 등 우리가 눈으로 보는 것보다 더 넓은 범위를 보고 파악할 수 있다.
레이더(Radar) | 라이다(Lidar) |
- 비교적 저렴 - 차량 내부에 장착 - 주로 카메라와 함께 장착(카메라가 있어야 정확한판단 가능) - 전자기파를 쏘고 다시 돌아오는 것을 이용해 장애물을 탐지 - Lidar보다 더 긴 작동 거리 - 작은 물체 감지가 어려움 - 물체의 정밀한 이미지를 제공하지 못함 - 구름 많은 날씨 환경 및 야간에도 손쉽게 작동 |
- 매우 비쌈 - 차량 외부에 장착 - 혼자서도 충분(카메라와 함께 있으면 더 좋음) - 빛(레이저)을 쏘아 다시 돌아오는 것을 이용해 주변을 이미지화 - 짧은 주파수로 작은 물체도 감지가 가능 - 정확한 3D 단색 이미지를 만들 수 있음 - 야간과 구름이 많은 날씨에서 사용이 제한 |
728x90
'Electronic Engineering > etc'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이어폰에서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는? (0) | 2020.11.16 |
---|---|
GPU(그래픽 처리 장치)에 대해 알아보기 (0) | 2020.11.14 |
CPU란? CPU의 block diagram 분석해보기 (1) | 2020.11.13 |
헷갈리는 CPU(중앙처리장치)의 성능, 용어 정리 (1) | 2020.11.09 |
낸드 플래시(NAND Flash)와 노어 플래시(NOR Flash) 개념정리 (0) | 2020.11.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