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스미스 차트
- 전송 선로의 편리한 계산을 위해 고안한 것
- 복소 임피던스를 시각화한 원형의 도표
- 스미스 차트로 출력해 봄으로써 전송 선로의 행동특성을 파악할 수 있습니다.
- 위의 스미스 차트와 같이 스미스 차트는 실수와 허수 부분으로 나누어지게 됩니다. 원은 실수를 의미하고 뻗어나가는 것은 허수를 의미합니다. 쉽게 말하기 위해 다른 그림을 보면 파란색 선은 실수이고, 빨간색 선은 허수입니다.
- 스미스 차트는 임피던스와 반사계수와의 관계를 곧바로 변환할 수 있습니다. 또한 임피던스점이 어떤 R, L, C 등의 특성을 나타내고 있는지 한눈에 쉽게 알 수 있습니다.
- 주요 용도 : 주로 무손실 전송선로에서 유용, 전송선로 문제 해결, 전송선로 임피던스 정합 등
사실 이러한 스미스 차트는 제가 무선설비기사를 따려고 공부를 해봤습니다. 그때는 거의 시험을 위해서 스미스 차트를 익혔습니다. 이번에 회로 설계를 하면서 RF 회로를 조금 다루어 봤는데 이때, 스미스 차트를 시뮬레이션해보았습니다. 우리가 설계하고 자하는 주파수의 점이 스미스 차트의 정중앙으로 가는 것이 제일 이상적이라고 합니다. 스미스 차트에 대해서 많이 알지 못해서 오늘은 이렇게 짧게 포스팅을 하고 다음에 더 공부해서 자세히 적어보겠습니다.
728x90
'Electronic Engineering > RF Circuit'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동 부하(Active Load), 전류원 부하 란? (0) | 2020.12.30 |
---|---|
Q-factor(Quality Factor, 양호도)란? (1) | 2020.12.07 |
발진(Oscillation)의 정의, RF에서 발진은 왜 안좋은가? (1) | 2020.11.0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