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Electronic Engineering 52

RFID의 동작 원리와 3가지 기준에 의한 RFID 분류 정리

안녕하세요. RFID의 간단한 개념, 구성요소, NFC의 차이점은 여기를 참고해주세요! RFID(무선 인식 기술)란? RFID와 구성요소와 NFC의 차이점 RFID(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주파수를 이용해 ID를 식별하는 방식 전파를 이용해 먼 거리에서 정보를 인식하는 기술 전자기 유도 방식으로 통신 주파수를 이용하기 때문에 직접적인 접촉 없이 먼 yeji1214.tistory.com RFID 시스템은 관리한 대상 사물에 태그를 부착하고, 전파를 이용해 사물 및 주변 상황 정보를 감지하고, 필요한 정보를 수집, 저장, 가공, 추적함으로써 사물에 대한 측위, 원격 처리, 관리 사물 간 정보 교환이 가능한 다양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입니다. RFID 동작 원리 RFID 태..

QLED(퀀텀닷, 양자점 디스플레이)의 구현 방식과 QD(퀀텀닷)의 응용분야

안녕하세요. 지난번 포스팅에서 QLED란 무엇이고 구조, 장점에 대해 글을 적어보았습니다. QLED에 대해 설명을 적어놓은 포스팅을 밑에 링크를 넣어놓겠습니다. 퀀텀닷(Quantum Dot) 디스플레이란? 안녕하세요. 삼성디스플레이에서 LCD 디스플레이에 이제 투자를 하지 않고 OLED와 QLED에 투자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OLED 디스플레이는 QLED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익숙하기 때문에 QLED에 알 yeji1214.tistory.com QLED는 과연 어떤 원리를 이용해서 빛을 내는 것일까요? 먼저 QD(퀀텀닷)의 입자 크기가 매우 작기 때문에 양자구속효과는 관찰할 수 있는 불연속 에너지 준위과 넓은 밴드갭을 유발 할 수 있습니다. QD에서 양자화된 이러한 에너지 준위는 단일 분자(단일 갭..

퀀텀닷(Quantum Dot) 디스플레이란?

안녕하세요. 삼성디스플레이에서 LCD 디스플레이에 이제 투자를 하지 않고 OLED와 QLED에 투자를 많이 한다고 합니다. 그래서 OLED 디스플레이는 QLED보다 상대적으로 많이 익숙하기 때문에 QLED에 알아보고자 합니다. QLED란? 퀀텀닷(QD)은 양자점이라고 하는데 지름이 수 나노미터 이하 크기의 초미세 반도체 나노입자를 말합니다. 양자점의 발광 과정은 광자의 들뜸으로 인해 발생하므로 광발광이라고도 부릅니다. 반도체에 밴드갭에 해당하는 에너지보다 큰 외부자극이 주어지면 가전자대에 있는 전자가 전도대로 올라가고 가전자대에는 Hole이 생기게 됩니다. 이는 들뜬상태라고 하며 전도대의 전자는 가전자대로 돌아가려 합니다. 이때 전도대의 전자와 가전자대의 Hole이 서로 재결합하게 되고 물질에 축적된 들..

모바일에 들어가는 ToF(비행 시간 측정, Time of Flight) 센서란?

안녕하세요. 오늘은 애플에서는 ToF 센서를 적극 사용하여 아이폰 12 MAX에 탑재를 하였습니다. 이 기술을 가장 먼저 사용한 건 삼성 갤럭시 S10을 시작으로 갤럭시 S20에도 탑재를 했는데, 5세대의 이동통신 구축 지연, 증강현실(AR)* 가상현실(VR) 관련 애플리케이션 부족 영향으로 갤럭시 노트 20부터 ToF 센서 탑재를 하지 않았습니다. 사실 이렇게 ToF 센서를 탑재한 모바일 기기는 LG전자가 가장 먼저 발표를 하였습니다. ToF 센서는 라이다와 같이 레이저 펄스가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주변 환경이나 사물을 파악하는 기술로 비슷합니다. 하지만 ToF 센서보다 라이다의 성능이 우수해 자율 주행 기술 등에 활용이 됩니다. ToF 센서 빛이 피사체에 반사되어 돌아오는 시간을 측정하여..

이어폰에서 노이즈 캔슬링의 원리는?

안녕하세요. 요즘 우리는 애플에서 에어팟 프로 노이즈 캔슬링, 버즈 라이브 노이즈 캔슬링 음질이 높은 서비스를 위해 노이즈 캔슬링이라는 기술이 들어간 이어폰 또는 헤드폰 사용합니다. 이렇게 노이즈 캔슬링은 마켓팅을 할 때 아주 좋은 기술이라고 강조를 합니다. 노이즈 캔슬링? 노이즈 캔슬링은 군용 헤드셋에 처음 적용이 되었습니다. 이렇게 우리 기술이 발달하는 데에는 군대가 빠지지 않는 것 같습니다. 미국에서 음향 기술 업체에 노이즈 캔슬링 기술 개발을 의뢰해 전투지 조종사와 나사 우주인들이 제트 엔진과 로켓 엔진 소음에도 원활한 소통을 할 수 있게 하기 위한 기술이었습니다. 이렇게 의뢰받은 업체는 8년 간의 연구로 군용 노이즈 캔슬링 헤드셋을 개발하였습니다. 노이즈 캔슬링 기술 Active Noise Ca..

수동필터와 능동필터의 차이점

수동 필터(Passive Filter) 이득이 없는 필터 R, L, C로만 구성 장점 : 필터의 작동을 위해서 외부 전원이 필요하지 않음, 입력 임피던스가 낮고 출력 임피던스가 높기 때문에 부하를 구동하는 전압을 자체 조절 가능, 매우 높은 주파수에서 작동 가능, 적절한 디자인으로 노이즈 진폭 최소화 가능 단점 : 저항, 커패시터, 인덕터는 모두 전류가 통과할 때 전력을 소비하며 전력 이득이 불가능, 인덕터를 사용하면 회로의 면적이 커지면서 비용 증가, 열 노이즈로 인해 소량의 노이즈 생성 RC Low Pass Filter 아래의 그림과 같이 저항과 커패시터만 있으으면 저역 통과 필터 구성 fc(cut-off 주파수) = 1/(2*pi*R*C) 지정된 차단 주파수 지점까지 DC에서 일정한 출력 전압을 가..

GPU(그래픽 처리 장치)에 대해 알아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GPU, 그래픽 처리 장치에 대해 설명하겠습니다. 그래픽 처리 장치는 컴퓨터의 그래픽을 처리하는 장치 이렇게 일차적으로 생각을 많이 했습니다. 개념은 대략적으로 알지만 정확히 원리에 대해서는 알기 어려웠습니다. GPU는 그래픽 카드와는 다른 장치입니다. 중간에 CPU의 모양과 비슷하게 생긴 칩이 GPU입니다. 그래픽 카드는 GPU가 설치된 PCB 보드, 외부 출력 포트 등 모두 포함되어 있는 제품입니다. GPU란? 컴퓨터 시스템에서 그래픽 연산을 빠르게 처리하여 결과 값을 모니터에 출력하는 연산장치 컴퓨터 그래픽과 영상 처리에 매우 효과적으로 사용 병렬 연산에 특화된 내부 구조를 통해서 모니터에 3D 그래픽을 출력해주는 역할을 목적으로 만들어진 하드웨어로 그래픽 카드의 핵심 부품 여러..

CPU란? CPU의 block diagram 분석해보기

안녕하세요. 지난번에 CPU의 용어에 대해 정리를 해보았습니다. 이번에는 CPU를 구성하기 위한 Block들의 용도에 대해 분석해 보겠습니다. CPU(중앙 처리 장치) 중앙 처리 장치로 컴퓨터의 핵심(컴퓨터의 뇌) 메모리를 읽고 쓸수 있으며, 다른 하드웨어 제어, 명령 해독, 연산 수행을 함 ALU(Arithmetic Logic Unit) CPU의 구성요소 중에서 연산 담당 연산 모듈에서는 뎃셈, 뺄셈, 곱하기, 나누기와 같은 사칙 연산이 이루어짐 논리 모듈에서는 AND, OR, NOT, NAND와 같은 논리 연산이 이루어짐 연산만 담당, ALU로 돌아오는 명령어 해석하지 못함 CU(Control Unit) 전체 컴퓨터의 동작 제어 CPU에 연결되어 있는 메모리, I/O(input and output)과..

Apple(애플)의 M1칩에 대해 알아보자

안녕하세요. 오늘 블로그에 쓸 내용은 애플의 M1 칩입니다. 애플은 이번 6월에 반도체 독립 선언을 했습니다. 반도체에 관심 있어하는 학생으로서 엄청난 소식이었는데요, 애플이 인텔을 벗어나서 독자 반도체 설계를 추구하면서 반도체 산업계의 지형이 흔들렸습니다. M1칩이 바로 어제 11월 11일 새로 공개가 되었습니다. 애플은 새로운 맥 미니, 맥북 에어, 맥북 프로 13형에는 모두 ARM 구조를 기반으로 한 자체 M1 프로세서로 구동이 됩니다. 그럼 이 새로운 M1칩에 대해 얘기해 보도록 하겠습니다. M1칩은 Mac을 위한 첫 SoC(System on Chip)입니다. 이때까지의 Mac은 CPU, I/O, 보안 등을 위해 다수의 칩을 사용해 왔습니다. 하지만 M1 칩의 개발로 CPU, I/O, 보안 등을 ..

LCD와 OLED 한눈에 비교하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제가 예전부터 관심 있어하고 포스팅을 하고 싶었던 LCD와 OLED 디스플레이 패널입니다. 이번에 아이폰에서 12와 12 PRO에도 OLED 디스플레이 패널을 사용하면 기존에 프로와의 차이점이 거의 없어졌다고 생각했습니다. 갤럭시에는 S시리즈뿐만 아니라 노트 시리즈에도 OLED 디스플레이를 탑재하고 있습니다. LCD (Liquid Crystal Display) CCFL(냉 음극 형광관) 또는 LED(발광 다이어드)로 만든 백라이트를 사용하는 일반적인 저비용 옵션 OLED 디스플레이보다 더 많은 구성 요소가 포함 셔터를 구동하고 백라이트를 반사하는 편광 필름 및 기타 구성요소 스스로 발광이 불가능한 수동형 디스플레이 AMOLED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e..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