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28x90

Electronic Engineering 52

레이더와 라이더의 차이점

레이더(Radar) 무선으로 주변 물체를 탐지하고 거리를 측정할 수 있는 센서 레이더는 전자기파를 발생시켜 물체에 쏘고 다시 돌아오는 전자기파를 통해 거리, 방향, 고도를 알아내어 물체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비행기 혹은 배의 위치를 파악하거나, 지형에 대한 정보, 구름과 같은 기상정보를 알아내는 데 사용 라이다(Lidar) 펄스 레이저를 사용, 빛을 이용해 주변을 탐색하는 장치 레이더와 다르게 안테나보다는 카메라와 가까운 모습을 가지고 있으며 플래시 라이다(Flash Lidar), 스캐닝 라이다(Scaning Lidar) 두 가지로 구분되어 역할에 따라 사용 라이다는 360도로 초당 수십 바퀴를 돌면서 빛을 사방으로 쏘았다가 다시 돌아오는 정보를 토대로 이미지를 그려낸다. 그려낸 이미지 컴퓨터..

인덕터와 인덕턴스 차이점

인덕터 코일을 통과하는 전류의 결과로 자홍색과 전기 간의 관계를 이용하도록 설계된 와이어 코일로 구성된 수동 전기 부품 인덕턴스를 일으키는 소자 또는 구조물 인덕턴스 회로를 흐르고 있는 전류의 변화에 의해 전자기 유도로 생기는 역기전력의 비율을 나타내는 양 전류의 변화에 저항하는 인덕터의 이러한 능력과 전류 자기 플럭스링키지라고 불리는 NΦ 를 비례 상수로 연결하는 능력 Henry 단위로 기호 L로 표현 인덕터의 기호 인덕터를 통해 흐르는 전류 i는 이에 비례하는 자속을 생성 그러나 판에 걸친 전압변화에 반대하는 커패시터와 달리 인덕터는 자기장 내에서 자체 유도 에너지가 축적되어 전류가 흐르는 속도에 반대 즉, 인덕터는 전류 변화에 저항하거나 반대하지만 정상 상태의 DC 전류를 쉽게 통과

CS Amplifier(Common Source Amplifier), 공통 소스 증폭기

공통 소스 증폭기에 대해 배우기 전에 전자 회로에서 증폭기를 설명해 보겠습니다. 공부를 하고 있는 중이니 틀린 부분이 있으면 알려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증폭기 위상 변화 및 주파수 없이 입력 신호의 강도 또는 진폭을 높이는 데에 사용 증폭기 회로는 FET 또는 BJT로 구성 BJT보다 FET을 사용하는 증폭기 회로의 장점은 입력 신호에서 높은 입력 임피던스, 높은 전압 이득 및 낮은 잡음을 생성하기 때문에 소신호 증폭기로 사용 FET은 소스, 드레인 및 게이트의 세 가지 단자가 있는 전압 제어 장치여서 단자를 기반으로 공통소스, 공통드레인, 공통게이트 증폭기 회로로 3개의 증폭기로 구성 공통소스 증폭기는 높은 입력 및 출력 임피던스를 생성 할 수 있고 성능도 높기 때문에 다른 증폭기 회로보다 가장 널리 ..

도체, 반도체, 부도체의 차이점

도체 전기 혹은 열이 잘 흐르는 물질 철, 전선, 알루미늄, 가위, 금 전기전도도(전기가 흐르는 정도)가 아주 큰편 부도체 전기 혹은 열이 잘 흐르지 않는 물질 유리, 도자기, 플라스틱, 마른나무 전기전도도가 거의 0 반도체 전기전도도가 도체와 부도체의 중간정도 순수 반도체는 부도체와 같이 전기가 거의 통하지 않지만, 어떤 인공적인 조작을 가하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기도 한다는 특징을 지님 빛 혹은 열을 가하거나 특정 불순물을 주입하면 도체처럼 전기가 흐르게 된다. 반도체와 도체의 다른 점 도체는 전기가 잘 통하지만 사람이 조절하기 어렵다.

RF, Analog, Digital Circuit 차이점

RF 회로란? 무선 주파수를 나타냄 통신신호(라디오, TV방송, 휴대폰, 위성전송) 또는 레이더 신호에 사용되는 주파수를 포함해 3kHz이하에서 약 300GHz까지 확정되는 범위에 있는 전자기파 주파수 아날로그 회로의 부분집합 Ex : 안테나 Analog 회로란? 아날로그 회로는 원래 신호를 디지털 신호와 같은 다른 형식으로 변환하는데 사용할 수 있다. 잡음이나 왜곡을 추가하는 것과 같은 의도하지 않은 방식으로 신호를 수정할 수 있다. 데이터가 지속적으로 가변적인 물리량으로 표현되는 매커니즘과 관련되거나 그 매커니즘 전자신호를 비 디지털 방식으로 조작하는 회로(파동의 크기, 모양 또는 주파수) 능동 아날로그 회로, 수동 아날로그 회로로 분류 능동 아날로그 회로 : 전원을 사용해 설계자의 목표를 달성 수동..

반도체 종류

안녕하세요 오늘은 반도체 종류에 대해 간단하게 나눠보도록 하겠습니다 반도체의 형태에 따라 디스크리트(Discrete)소자, 집적회로(IC) 두 가지로 분류할 수 있다. Discrete 소자 : 다이오드, 트랜지스터가 여기에 속하는데 ON/OFF와 같이 단순한 기능을 하는 제품 집적회로 : 수십억개의 전자부품 및 디스크리트 소자들을 한 개의 칩 속에 집접한 형태

메모리 반도체(Semiconductor memory)

메모리 반도체란? 메모리 반도체는 컴퓨터 메모리와 같은 디지털 데이터 저장에 사용되는 디지털 전자 반도체 장치 일반적으로 얘기되어지는 MOS 메모리입니다. 즉,데이터는 실리콘 집적회로 메모리 칩의 MOS(metal-oxide-semiconductor) 메모리 셀 내에 저장되어진다. 메모리 반도체는 휘발성 메모리와 비휘발성 메모리로 나누어 집니다 휘발성 메모리 SRAM(Static RAM) - 메모리 셀당 여러 트랜지스터를 사용 DRAM(Dynamic RAM) - 셀당 단일 트랜지스터와 MOS 커패시터를 사용 비휘발성 메모리 FeRAM(Ferro electric RAM) MASK ROM EPROM [UV-EPROM] (Erasable Profammable ROM) EEPROM(Electrically-Era..

반도체에서 능동소자, 수동소자의 차이 및 종류

수동 소자란? Passive 에너지를 소비하는 작용을 하고 수동적으로 작용할 뿐 먼저 나서서 뭔가를 하지 않는다. 수동소자는 단독으로도 어떤 기능을 구현 할 수 있다. 만들어진 후에는 입력 조건에 의한 소자의 특성 변화가 불가능하고, 소자의 특성이 수동적으로 상황에 알맞게 전류나 전압이 인가되지 않은 상태에서 결정 되는 소자이다. 기본적으로 선형 동작을 하기 때문에 수동소자는 선형 해석만으로도 충분히 해석이 가능하다.4 저항, 인덕터, 커패시터 능동 소자란? Active element 전원으로부터의 에너지를 써서 신호의 에너지를 발생시키는 등, 에너지 변환을 하는 것이 능동소자이다. 신호의 증폭 및 주파수 변환에 적용 능동소자는 단독으로는 사용되기 힘들고 주위에 수동소자가 있어줘야 하며 2개 이상의 소자..

OP-AMP(Operation Amplifier)의 특징/성능 - CMRR, PSRR, Offset voltage, Slew rate

OPAMP란? OPAMP는 연산 증폭기라고 하는데 두 개의 입력단자와 한 개의 출력단자를 갖는다. 두 입력단자 전압간의 차이를 증폭하는 증폭기이기에 입력단은 차동 증폭기로 되어있다. 연산증폭기를 사용해 사칙연산이 가능한 회로 구성을 할 수 있어 연산자의 의미로 연산 증폭기라고 부른다. 활용 :미분기, 적분기 CMRR이란? CMRR : 공통 모드 제거비(Common mode Rejection Ratio) - 차동 증폭기에서 공통모드 신호를 제거하는 능력을 나타내는 파라미트 - CMRR = Avd / Acm = 차동모드 전압이득 / 공통모드 전압이득 - 이상적인 차동증폭기는 원하는 신호 입력에 대해 매우 높은 이득을 제공하지만 공통모드 신호에서는 0 이득 - 실제 차동증폭기에서 차동모드 이득은 수천 이상이고..

비메모리 반도체란?

비메모리 반도체는 시스템 반도체라고도 불려진다 요즘 이 시스템 반도체 테마가 강세이다. 삼성전자 또한 이 시스템 반도체에 엄청난 투자를 하기로 결정했다. 시스템 반도체는 무엇일까?? 시스템 반도체란 중앙처리장치(CPU)처럼 데이터를 해석/계산/처리하는 반도체이다. 메모리반도체의 경우 기능이 단순하지만 수요가 많아서 대규모 투자를 바탕으로 대량 생산방식이 가능하지만, 비메모리반도체의 경우에는 적은 투자로 많은 수익을 얻을 수 있어 일본/미국 업체들이 적극 나서고 있다. 우리가 흔히 알고 있는 D램, S램, V램, ROM 등이 메모리에 속한다. 중앙처리장치(CPU), 멀티미디어 반도체, 주문형 반도체(ASIC), 복합형반도체(MDL), 파워반도체, 개별소자, 마이크로프로세서 등 메모리 이외의 모든 반도체를 ..

728x90